본문 바로가기
중요한건강이야기

부정맥(arrthythmia)의 종류와 특징 변조율, 기외수축, 빈맥, 심장의 전도 차단

by 달군65 2022. 12. 4.
반응형

동방결절로부터 유래하면서 정상적 리듬을 갖고 1분에 100회 이상의 심박동이 나타나는 현상을 동성 빈맥 이라고 하며, 동방결절로부터 유래하면서 정상적 리듬을 가지고 1분에 60회 이하의 심박동이 나타나게 되면 동성 서맥 이라고 합니다.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P파, QRS파와 T파의 모양이 유사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정상적 심장의 리듬을 정맥 이라고 하며, 반면 부정맥이란 심박의 리듬이 불규칙적인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변조율, 기외수축, 빠른 리듬과 심장의 전도 차단이 모두 포함되고 있습니다.

 

부정맥 변조율 기외수축 빈맥 심장의 전도 차단
부정맥 변조율 기외수축 빈맥 심장의 전도 차단

 

1) 변조율(varying rhythm)이란?

변조율은 P-QRS-T가 정상적 순서를 나타내지만 P-QRS-T간의 간격이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불규칙적 리듬을 보이는 것으로 동성 부정맥, 방황성 심박조율기과 심방 세동이 포함됩니다. 동성 부정맥은 동방 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유래하지만 전기적 자극의 간격이 불규칙적이며, 방황성 심박조율기는 심박조율기의 위치가 변화하여 감에 따라 P파의 모양이 다양하게 변화하면서 불규칙적인 리듬이 나타나게 됩니다. 심박세동은 심방의 이소성 중추가 다발성으로 가능하여 전기적 자극을 다발성으로 유발시키지만 심방의 탈분극을 가져오지 못하고 소수의 전기적 흥분이 방실결절에 도달하면서 불규칙적인 심실의 수축을 가져오게 되므로 P파는 관찰할 수 없고 불규칙적인 QRS파를 보이게 됩니다.

 

2) 기외수축(extra beats)이란?

기외수축은 심전도상에서 예상했던 것 보다 빨리 나타나는 파가 있는 경우로 조기수축, 보충수축과 동정지가 포함되는데요, 조기 수축은 정상적 전기적 자극에 선행된 전기적 흥분 즉, 이소성 흥분 중추의 조기 자극으로 정상적 사이클의 초기에 나타나게 되며 이소성 중추의 위치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 집니다. 심방의 이소성 중추에 의한 조기 심방수축, 방실결절의 이소성 중추에 의한 조기 결절성 자극, 심실의 이소성 중추에 의한 심실조기 수축이 있습니다. 심박 탈락은 반복되어야 할 정상적 싸이클의 연속성이 깨지는 경우로 한 싸이클 이상의 비정상적인 휴지기가 지속이되면서 이소성 줭추가 흥분하여 심장을 자극하게 되는 보충 수축이 일어나게 됩니다. 동정지는 동방결절이 갑자기 정지되어 심박조율기로써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동방결절의 다른 영역이나 이소성 심방 중추가 전기적 흥분을 시작하여 새로운 심박 리듬을 유지하게 됩니다.

 

 

반응형

 

3) 빈맥(paroxysmal tachcardia)

부정맥에 포함되는 심박의 빠른 리듬 즉 빈맥에는 발작성 빈맥, 심방조동, 심실조동, 심방세동과 심실세동이 포함되는데요, 발작성 빈맥의 경우 이소성 중추의 연속적인 흥분에 의해 갑자기 1분당 150~250회로 심박수가 증가합니다. 정신적 흥분, 운동과 쇼크의 상황에서는 동방결절의 주도하에 동빈맥이 나타나게 됩니다. 발작성 빈맥도 이소성 중추의 위치가 심방, 방식결절 또는 심실이냐에 따라 각각 발작성 심방 빈맥, 발작성 결절성 빈맥과 발작성 심실 빈맥으로 나뉘어 집니다. 심방 조동은 심방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소성 중추가 250~300회/분의 속도로 흥분하여 P파를 유도하기 때문에 빠르기는 하지만 싸이클의 모양이 일정하고 규칙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심실 조동은 심실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소성 중추가 200~300회/분의 속도로 흥분하면서 싸인 삼각함수에서 그려지는 유연하고 규칙적인 정현 곡선의 모양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심방 세동과 심실 세동은 여러 개의 이소성 흥분 중추가 각각 다른 속도로 흥분하면서 발생되는 무질서하고 불규칙적인 싸이클을 만들게 되는데 예를들어 심방 세동에서는 P파 없는 불규칙적인 기선이 나타나거나 불규칙적인 QRS가 출현하고, 심실 세동에서는 심실의 수축없이 경련을 유발하여 심전도의 싸이클과 모양은 매우 불규칙적으로 됩니다. 때문에 심실 세동은 심장의 펌프 작용이 없어 혈액 순환이 되지않는 심장 마비의 한 형태로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4) 심장의 전도 차단(heart block)

심장의 전도 차단이란 전기적 자극의 전달과정이 차단되는 것으로 전기적 자극의 차단 위치에 따라 동방결절 전도 차단, 방실결절 전도 차단과 좌우 각전도 차단으로 분류 되는데요, 동방결절 전도 차단에서는 동방결절의 일시적 정지 후 다시 동방결절이 활동을 하기 때문에 심전도 상에서는 적어도 한 싸이클 이상이 누락되지만 그 후 규칙적인 싸이클이 나타납니다.하지만 방실결절 전도 차단에서는 심방의 탈분극과 방실결절의 흥분에 소요되는 시간이 0.2초 이상으로 길어지면서 심전도상의 P파와 QRS파간의 간격이 길어집니다. 우각은 우심실을 탈분극시키고 좌각은 좌심실을 탈분극시키며 양쪽의 심실이 동시에 탈분극되면서 수축되지만 좌우 각 중 어느 한 곳에 전도 차단이 나타나면 전도차단이 된 부위의 심실 수축이 지연됩니다. 예를들어 좌각 차단에서는 좌심실의 수축이 늦어지고, 우각 차단에서는 우심실의 수축이 늦어지게 되는 것이죠, 때문에 심전도에서는 QRS군의 간격이 0.12초 이상으로 넓어지거나 2개의 R파를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