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요한건강이야기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원인과 증상 및 임상적 치료법

by 달군65 2022. 12. 7.
반응형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원인으로는 관상동맥 혈류의 감소로 심장근육에 적절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발생하게 되는 심근의 괴사를 의미하는데요, 관상동맥 혈류의 감소는 죽상경화증, 색전이나 혈전에 의한 관상 동맥의 완전 폐쇄, 쇼크나 출혈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남성에게 보다 빈번하게 발병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는 폐경 이후에 발생률이 증가하며 발생 위험 요인은 관상동맥 질환 발생과 동일한 것이 특징입니다.

 

심근경색증증상 심근경색증원인 심근경색증치료
심근경색증증상 심근경색증원인 심근경색증치료

심근경색증 증상

심근경색증의 주요 증상은 갑자기 흉추 하부와 상복부에서 통증이 시작된 후 좌측 어깨와 좌측 팔로 통증이 방사될 수 있습니다. 협심증에서의 통증과 다른 점은 신체적 활동, 감정적 불안이나 흥분이 없는 상태에서 자연히 시작되어 수 시간 또는 수 일 동안 지속되면서,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으며, nitroglycerin의 투여를 받더라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게 됩니다. 맥박은 빠르고 불규칙하며, 혈압은 저하됩니다. EXG 상에서 ST 분절이 상승되면서 2주 정도 지속이 되며, T파가 역전되고, Q파가 0.04초 이상으로 지연되거나 또는 Q:R의 비가 25% 이상으로 커지는 비정상적 Q파를 볼 수 있습니다. 심근 효소인 CK, CK-MB, SGOT 및 LDH의 혈장 농노가 증가하게 됩니다. 심근경색증의 경우 즉시 치료가 따르지 않으 ㄹ경우는 심근 경색증 환자의 70%가 증상 발생 후 1시간 이내에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심근경색증의 임상적 치료법

치료의 목적은 부정맥의 발견과 치료, 쇼크의 완화, 통증의 완화, 심근의 휴식, 합병증 예방, 생리적 기능적 재활, 죽상경화증의 진전 방지에 있는데요, 통증이 완화될 때까지 모르핀과 같은 진통제를 투여하고, 비관을 통해 5~6L/min의 산소를 투여받으면서 휴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진정체를 투여받게 됩니다. 발생 6시간 이내에 혈전용해제와 항응고제를 투여받고 신체적 정서적 휴식과 함께 신체활동을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입을 꼭 다물고 배에 힘을 주면서 강제적 호기를 유도하는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에서 콜레스테롤, 포화 지방산과 염분을 제한하며 특히 비만에서는 열량을 제한해야 합니다. 카페인이 포함된 음료수를 섭취도 제한하고 부부관계는 심근경색증의 합병증이 사라지고 6~8주 후에 가능합니다. 심근경색증의 진행 정도는 EKG와 혈청 효소의 검사로 확인이 되며, 심장의 기능은 징후와 신체적 증상으로 사정이 가능합니다. 비만, 고혈압 또는 빈혈을 치료하여 심근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 교육을 통해 흡연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