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의 최대 성인 공자의 가르침인 유교는?
우리의 조선에서도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을 만큼, 큰 가르침을 주고 있는 공자의 유교는 고대 한나라의 무제가 유교를 국교로 삼은 이후 2천여년간 중국인의 사상과 학문, 생활 규범의 원리가 되고 있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로, 기원전 552년에 중국의 노나라에서 태어났다. 시대적 배경은 춘추전국시대라 여러 나라가 전쟁을 하는 통에 백성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었다. 그러자 공자는 고향이 노나라에서 정치에 몸담고, 인과 덕을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큰 힘을 기울이게 된다.
하지만 공자의 뜻과는 달리 큰 어려움이 있자. 중국 전역을 떠돌면서 올바른 정치와 올바른 삶에 대해 가르침을 펼치고 다니는데, 하지만 공자의 이상적 정치 이념은 탐욕으로 가득한 현실 정치가들에게 외면을 당하곤 하였다. 이에 공자는 14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남은 생애 동안 학문 탐구와 제자들의 교육에 매진하였다. 공자의 가르침은 주로 인과 덕을 이상으로 삼고, 효도와 우애 그리고 정성과 인정으로써 그 바탕을 삼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것들을 예로써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이런 공자의 가르침을 '유교' 즉 유학이라고 하며, 경전으로는 '사서삼경'이 있다. 사서란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을 말하고, 삼경이란 '시경' '서경' '주역' 이다. 이 책들은 공자의 가르침을 제자들이 엮은 것이다. 이 안에는 나라를 다스리는 법, 공부하는 법, 사람답게 사는 법 등에 대한 가르침이 다양한게 담겨 있다고 한다.